STOCK(KOREA)/SAMSUNG SDI

[삼성SDI SAMSUNG SDI] 2024년 3분기 실적 발표 및 투자 후기

Kai Yoo 2024. 10. 30. 11:55
728x90


  • 동사는 중ㆍ대형전지, 소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함.
  •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고효율, 고용량 리튬이온 2차전지를 개발하고 이를 자동차 완성업체에 공급함.
  • 소형전지는 원형, 파우치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Note PC, 전동공구 등의 휴대 제품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전지에도 사용됨.

2024.5.14 당시 수익률 + 9.75%

2024.7.30일 수익률 -15.47%

2024.10.30 수익률 -10.47%


 

+ 9.75% -> -15.47% -> -10.47%

계속 물타서 6개 ㅜㅜ

나는 믿는다 대한민국 3사(삼성, LG, SK) 대기업이 뛰어든 2차 전지 사업

언젠가는 떡상 하리라아아아아아


2024.4.19 배당금 1,000원(세전) 1

작년 12월 말 기준 1주를 가지고 있어 세전 1000원

계속 물타보자아아아아아

배당금은 현재 전기차 캐즘으로

실적이 상당히 안좋으니 내년에는 좀 더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기대해 본다.


삼성SDI 24년 3분기 실적



□ 2024년 3분기 경영실적

삼성SDI가 2024년 3분기 매출 3조 9,356억 원, 영업이익 1,299억 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 전분기 대비 △4%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72%, 전분기 대비 △46% 줄었다.

삼성SDI는 편광필름 사업 양도 결정에 따라 3분기 실적부터 해당 손익을 중단영업손익으로 별도 분리했다. 편광필름 사업을 포함할 경우 매출은 4조 2,520억 원, 영업이익은 1,413억 원이다.

전지 부문 매출은 3조 6,7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전분기 대비 △5%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63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 전분기 대비 △69% 줄었다. 

각형 전지는 유럽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와 환율 영향 등으로 수익성이 감소했으나 미주 내 P6 배터리 공급 확대로 매출이 성장했으며, 에너지밀도와 안전성이 강화된 SBB 1.5 출시 등으로 ESS 전지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큰 폭으로 개선됐다.

원형 전지는 전분기 일회성 이익 반영에 따른 기저 효과와 전기차용 판매 감소에 따른 가동률 하락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으나, 파우치형 전지는 신규 스마트폰 출시 효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2,63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전분기 대비 2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66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전분기 대비 102% 늘었다. 

고부가 OLED 소재를 중심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됐으며, 반도체 소재는 전분기와 동등한 수준의 실적을 유지했다.

 □ 2024년 4분기 전망

삼성SDI는 올해 3분기 전기차 수요 성장세 둔화 등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각형 프리미엄 전지를 중심으로 GM과 J/V 계약 체결, 유럽과 아시아 주요 OEM향 신규 수주 확보, 전력용 SBB 1.5 출시 등 중장기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스텔란티스와의 J/V인 StarPlus Energy는 12월 조기 가동을 통해 미주에서 첫 배터리 셀 양산을 시작하고, 유럽 주요 고객의 신차 출시에 따라 고부가제품의 판매도 확대할 예정이다. 단, 수요 성장세 둔화에 따른 고객의 재고조정 영향 등으로 실적 개선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ESS 전지는 미주 내 전력용 SBB 제품 판매의 고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유럽에서도 전력용 SBB 제품과 UPS(무정전 전원장치)용 고출력 전지 판매가 증가하며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원형 전지는 수요 회복 지연 등 어려운 여건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I는 주요 고객과의 협력을 통해 수요 둔화 영향을 최소화하고, 프리미엄 신제품 개발 및 E4Wheeler 시장 진입 등 중장기 성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025년 초 양산 예정인 46파이 원형 전지는 주요 고객들과 협의를 진행 중으로 연내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된다.

전자재료 부문은 전방 수요 둔화로 인한 고객들의 재고 감축과 가동률 하락이 예상된다. 반도체 소재는 주요 고객의 점유율 유지 및 SOD, EMC 소재 등 신규 진입을 추진하고, OLED 소재는 주요 고객사 신규 제품 출시에 맞춰 적기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각형 프리미엄 배터리를 중심으로 중장기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라며 “업계를 선도하는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과 최고의 품질을 바탕으로 시장 수요 회복세에 맞춰 새로운 기회를 선점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 ESG 경영 활동

삼성SDI는 ‘ESG 경영이 기업의 핵심 전략이자 차별화 경쟁력’이라는 기조 아래 2022년 친환경경영을 선언하고 재생에너지 전환, 배터리 리사이클링 확대, 사업장 용수 사용량 절감 등 8대 전략 과제를 추진 중이다. 

삼성SDI는 올해 7월 양극재 세정수 내 리튬을 회수, 재활용하기 시작하였고, 스텔란티스와의 미국 합작법인 StarPlus Energy 공장의 현지 리사이클 체계도 마련했다. 

또한 2차전지 업계 최초로 지난해 6월 영국의 친환경 인증기관 ‘카본 트러스트’로부터 2개 제품에 대한 탄소발자국 인증을 취득한데 이어, 올해 8월 추가로 2개 제품에 대한 인증을 획득했다.

이와 함께 삼성SDI는 파트너사의 ESG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등 공급망 전체에 대한 ESG 경영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4분기도 대표이사가 쉽지 않다고 말한다.

그런데 나는 삼성 sdi 믿는다 그냥 가즈아아아아


 

728x90